객체(object) : 물리적으로 존재하거나 추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 중에서
자신의 속성을 가지고 있고 다른것과 식별 가능한 것을 말한다.
document.getElementById("d1").innerHTML=new date();
//빈칸으로 놔두면 현재시간 자동 입력
//date(2018,12,04) 처럼 입력시 날짜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음.
//date(100000) 처럼 입력시 1970년도 부터 초 단위부터 100000 + 되어 출력 됨.
사용자 정의 객체 : 사용자가 직접 객체의 속성과 메소드 (함수) 를 정의하여 사용하는 객체
ex) Car() , House()
내장 객체 : 자바 스크립트 프로그램자체에서 객체를 정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객체
사용자정의 객체로 객체를 정의할때는 변수와 같이 var 로 정의해주게 된다.
그 다음 괄호 안에 속성을 선언해주고, 메소드를 선언해 준다.
나중에 car 객체의 name 을 불러올 때에는 객체이름.속성 으로 사용해서 불러온다.
ex) car.name
(속성부분에 다른 객체를 사용하여 트리구조로 만들 수 있다.)
ex) car.name.객체이름.객체이름
** innerHTML 과 textContent
객체변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는
자바스크립트로 제어할 요소를 찾아 결과를 출력하는 방법이 있다.
innerHTML 과 textContent 을 이용하는데,
innerHTML은 예를 들어서
document.getElementByld("test").innerHTML="테스트"
test 부분을 찾아서 그 부분에 "" 안의 내용을 넣어서
출력을 하는 역할을 한다. (<b> 와 같은 태그를 써도 태그가 실행됨)
textContent 은
document.getElementByld("test").textContent="테스트";
test 부분을 찾아서 그 부분에 " " 의 내용을 그대로 출력을 하게 된다.
(그대로 출력하므로 태그를 써도 문자 그대로 출력하게된다)
Date 객체
Date 객체는 내장 객체이므로 다시 새롭게 객체를 선언하여 이용해야한다.
now=new Date(year, month,day); //연, 월, 일 정보를 갖는 now 객체 생성
ex)
now=new Date()
now.getYear() //now 에서 get 해라 , 년도를
getdate 와 달리 다른 getday 등은 전부 0~6 요일 , 0~11월 이런식으로 출력되기에 +1 을 해주던지
배열로 일, 월, 화, 수 를 정의해서 해당 위치를 출력하는 방법으로 만든다.
today=new Day()
Day=["일","월","화","수","목","금","토"];
document.write( Day[today.getDay()] )
form 으로도 객체.속성의 방법으로 호출 할 수 있다.
<form name=frm1>
<input type="text" name="clock">
</form>
document.frm1.clock.value=time; //frm1 의 clock 의 value 를 time 으로 잡아서 출력하여라.
시간을 지연 출력하는 방법은 setTimeout 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.
function digClock(){
today=new Date();
document.write(today.getSeconds()+"초")
setTimeout('digClock',1000);
}
digClock(); //1초 후 실행
문서객체 모델 (DOM) 웹문서를 메모리로 읽어들여 트리 구조로 변환. ( 디렉터리 )
**문서객체
createElement() 요소노드 생성
createTextNode() 텍스트 노드를 생성한다.
appendChild() 요소 노드를 body 객체에 추가한다
'HTML + CSS +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ML + JS 문제풀이 (0) | 2021.06.08 |
---|---|
javascript란? (0) | 2021.05.30 |